
운동중 당하는 어깨 부상의 약 80% 정도는 회전근개파열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단순한 근육통이나 결림 정도로 여기시다 부상을 확대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회전근개란 무엇일까요?
회전근개는 그 이름처럼 상완골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어깨 회전운동을 돕습니다.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으로 구성된 4개의 근육 복합체 입니다. 이 근육 복합체의 구성 근육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이 손상이나 파열을 입으면 회전근개파열이라 부릅니다.




회전근개파열은 발생 직후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면서 파열범위가 확대되고, 이와 비례해서 어깨 통증과 관절운동 제한이 나타납니다.
그 결과로서 어깨 부위는 신경압박에 따른 근력감소로 팔을 들고 무거운 물건을 들기 힘들어지고, 팔을 뒤로 넘기는 동작이 힘들어집니다. 뒷주머니에서 지갑을 꺼내거나 열중 쉬어 자세도 버거워집니다. 머리감기, 샤워하기, 찬장 위 물건 꺼내기도 힘들어지는 것은 물론입니다.

다만 이러한 관절 운동 제한과 통증으로 인해 오십견과 종종 혼동하는데 결정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바로 회전근개파열은 주로 극상근과 삼각근 주변부가 파괴되므로 어깨 너비까지 팔을 들 때는 (60~120도) 통증이 가중되지만, 오히려 머리 위로 쭉 들었을 때는 통증이 줄어든다는 사실입니다. 이것을 동통호(painful arc) 현상이라 부릅니다.
또한 타인의 도움이 있으면 수동적으로나마 팔을 들 수 있다는 것도 차이입니다. 오십견은 관절을 둘러싼 관절낭이 염증으로 부어오른 상태이므로 전방향의 관절 운동이 70도 이내로 제한되고 능동적, 수동적 관절 운동까지 제한됩니다.
① 어깨너비까지 팔을 들 때는 아프지만 그 이상 들면 통증이 감소한다
② 다른 사람 도움이 있으면 팔을 들 수 있다
③ 팔을 위로 들거나 뒤로 넘기는 동작에서 통증이 있다
④ 어깨 위쪽(극상근 부근)이 주로 아프다


회전근개 파열 부상후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파열 부위는 1년에 4~6mm씩 확대됩니다. 부상 부위만 확대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부위가 섬유질 조직에서 지방질로 바뀌면서 봉합하기 어려워지고, 부상이 근육에서 연골, 관절까지 확대되면서 어깨 퇴행성관절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운동후 어깨 통증과 함게 뻣뻣함, 불편함이 동반된다면 단순한 근육통이라 여기지 말고 초기 단계부터 적극적인 조기진단과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세초기라면 약물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 등을 통해 증상 호전을 기대해볼 수 있지만 파열범위가 크고 3개월 이상이 경과해도 이러한 보존적, 비수술치료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어깨관절내시경을 통해 찢어진 부위를 봉합하는 회전근개 봉합술을 실시하게 됩니다.


어깨관절내시경은 초소형 카메라가 장착된 작은 내시경을 어깨 관절에 삽입하여 병변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해당 치료의 장점은 직접 관절 내부를 모니터링 하여 치료가 진행되기 때문에 MRI 검사와 X-ray 검사에서도 파악하지 못하였던 부분도 다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정교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절개 범위가 작아 출혈이 적고 감염의 위험도가 낮아 안전하며, 수술 후 흉터가 거의 남지 않고 회복 기간이 길지 않아 빠른 일상 복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운동은 관절과 근육을 단련시켜 건강을 증진시키지만,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부상을 입히며 손상시킵니다. 무엇보다 이러한 부상을 입고도 제대로 대처하지 않는 것이 더 큰 건강상의 리스크입니다. 따라서 근육통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단순한 증상으로 넘기지 마시고 특정 질환 염부를 염두해두시고 구로정형외과 광명21세기병원에 들러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관절치료 > 어깨관절내시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통증, 오십견 치료는? [광명사거리역정형외과] (0) | 2023.03.30 |
---|---|
구로구, 지속되는 어깨 통증 정형외과 치료받고 회복하자! (0) | 2023.02.03 |
광명시정형외과 어깨 빠질듯한 통증의 실체 (0) | 2022.10.26 |
개봉동정형외과 운동후 자꾸 어깨가 아프면 (0) | 2022.10.25 |
[광명신경외과] 어깨 근육통이 아니라 이것일수도 (0) | 2022.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