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는 뇌와 연결된 척수신경이 지나고 있으며, 신체 각 기관의 말초신경과 연결되어 있는 신경다발은 인체의 모든 기능을 조절합니다. 이러한 척수신경은 척추관이란 통로를 통해 안전하게 통과하는데, 만약 척추관 통로 내부가 협소해질 경우 신경이 압박을 받는 척추관협착증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척추관을 좁게 만드는 요인은 척추의 퇴행성 변화입니다. 척추를 감싸고 있는 척추후관절과 황색인대가 노화에 따라 탄력이 저하되면서 비대해지고, 이에 따라 이 구조물이 감싸고 있는 척추관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면서 압박받는 것입니다. 또한 척추뼈에서 떨어져나온 뼛조각이 골극을 형성하여 신경압박 증세를 더욱 심화시키기도 합니다.
그런데 협착증을 앓으시는 환자들이 공통적으로 하시는 말씀이 허리 통증보다 다리의 저림과 땡김같은 하지방사통 증세가 심하다고 말씀하십니다. 엉치 혹은 허벅지, 종아리, 혹은 발 끝까지 저리거나 통증을 호소하게 되고, 보행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는 하지로 향하는 척수신경이 지나는 추간공이 함께 압박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압박으로 인해 디스크와 달리 허리를 펼수록 통증이 더 심해지고, 숙이고 구부릴수록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게다가 하지방사통이 심화되면 가는 거리와 시간이 짧아지며 활동반경과 활동성이 줄어드는 신경파행적 보행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증세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척추관의 신경압박을 해소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증세초기라면 도수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풍선확장술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동원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협착 증도가 심해 보행과 대소변을 가리는데 지장을 줄 정도라면 수술적 치료 단계로 넘어가게 됩니다.
이러한 수술적 치료로 검토되는 것이 척추내시경입니다. 척추내시경시술은 피부에 약 5mm 정도의 최소 절개를 한 후 그 안으로 가느다란 관을 넣고 내시경을 삽입하여 병변 부위를 확인해가면서 치료를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해당 치료는 정상적인 조직은 보존하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부분만 치료할 수 있으며, 절개 범위가 작아 통증과 출혈이 적고 전신마취로 진행되지 않아 고령자, 만성 질환자분들도 부담 없이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은 단독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지만, 척추전방전위증과 같이 다른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어서 치료가 까다로워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증세 초기에 꼼꼼한 진단을 통해 신경 압박 요인을 정확히 진단하여 이에 맞는 처방과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