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릎은 우리 몸에서 무릎 위의 체중을 지탱하는 곳으로 큰 압박을 견디는 관절이에요. 무릎에는 압박과 걷거나 활동을 하면서 가해지는 충격 등이 원인이 되어 많은 무릎 질환이 발생하게 돼요. 오늘은 많은 무릎 질환 중 하나인 반월상연골파열에 대해 소하동정형외과 광명21세기병원과 함께 알아보아요.

반월상연골은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 섬유연골성 조직으로 외면은 두껍고 얇아요. 반월상연골은 넙적다리뼈와 정강뼈 사이에 위치하는 조직으로 체중을 전달하고,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을 안정시키며, 관절 연골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요.
반월상연골은 내측과 외측으로 나누어지는데 내측 연골판은 외측보다 반경이 큰 C자 모양으로 되어 있고, 외측에 비해 외부 힘으로 다치기 쉬워요. 외측 연골판은 내측보다 크기가 작고 모양이 원형에 가까우며, 내측에 비해 유동성이 있어요.
반월상연골파열은 위와 같은 넙적다리뼈와 정강뼈 고평부 사이에 있는 'C' 자형의 반달 모양의 연골이 파열되는 질환을 말해요.

반월상연골판이 발생하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아요.
· 스포츠 부상 - 과격한 운동 중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
· 퇴행성 변화 - 노화로 연골이 약해진 상태에서 과도한 사용
스포츠로 인한 부상으로는 급격한 방향 전환, 급정지 등의 동작을 할 때 무릎이 뒤틀리면서 연골이 파열될 수 있어요. 퇴행성 변화로 인해 연골이 약해진 상태라면 계단을 오르거나, 앉기 위해 무릎을 구부리는 등 가벼운 일상생활을 하다가도 발생할 수 있어요.

그렇다면 위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반월상연골파열의 증상은 어떠한 것이 있을까요? 무릎 질환의 대부분은 초기에 비슷한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병원에 내원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 원인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해요.
· 움직임 제한 - 무릎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이 어려움
· 파열음 - 무릎을 움직일 때 뚝 소리가 남
· 통증 - 계단을 오르내릴 때 통증이 심함
· 열감, 부종 - 무릎에 열감, 부종이 발생

무릎의 통증으로 인해 소하동정형외과 광명21세기병원에 내원할 경우 X-ray, MRI, 초음파 등의 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을 수 있어요. 반월상연골파열은 진단받은 후 파열의 범위 정도가 작다면 약물치료, 주사 치료, 물리치료 등 보존적인 치료를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어요.
하지만 파열의 정도가 50% 이상으로 심하거나 이차적 질환으로 악화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어요. 수술적 치료로는 관절내시경술이 있어요.

관절내시경술은 관절 내에 약 1cm 미만의 작은 절개를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손상된 연골을 봉합 및 제거하는 치료로 장점은 다음과 같아요.
- MRI로도 진단을 내리기 어려운 부분까지 정밀 진단 가능
- 절개 부위가 적어 일상생활로 복귀가 빠르게 가능
- 수술 후 통증이 적어 수술에 대한 부담감 최소화
- 출혈 및 감염 등 부작용 위험성이 거의 없음

연골은 한 번 손상되면 자연적인 치유가 어려워요. 또한 반월상연골파열은 방치할 경우 퇴행성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