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정형외과, 적극적인 치료를 진행 해야 합니다.
50대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척추 질환인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 협착증은 생활하는데 장애가
있다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척추관협착증은 어떤 원인으로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
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척추관은 척추 가운데 관 모양의 속이 빈 곳으로,
아래의 척추에 의해 추간공이 생기며 가운데
관 속은 뇌로부터 팔다리까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됩니다.
관 모양은 타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경추 부위
에서 가장 크녀 흉추 부위에서 좁아졌다가
요추부에서 다시 커진 후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주롤 갖고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은 요추부에서 주로 많이
발생합니다.
보통 척추관 협착증이라하는 것은 요추
척추관 협착증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이러한 척추관 협착증이 경추 부위에
발생하면 경추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합니다.
척추관이 좁아지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척추관 주변의 황색인대 등이 퇴행성
변화를 겪으며 두꺼워져 신경을 누르게 되는
것이 주 원인입니다.
주로 40~50대에 발병률이 높았지만 최근
잘못된 자세를 오래 유지하게 되거나 운동이
부족한 경우에 추간판 노화가 비교적 젊은
나이인 30~40대에서도 일어나는 일이 많아
졌습니다.
특히 체중 떄문에 허리에 하중이 많이 실려서
추간판이 많은 압박을 받는 경우 더욱 빨리
찾아옵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앉아 있을 때는 괜찮지만, 걷게 되면 다리가
저리고 통증이 오며, 오래 걷기가 힘듭니다.
2. 허리 관절염 때문에 흔히 허리가 아프며
또한 걸을 때 허리를 구부정하게 숙이고 걸어야
하기도 합니다.
3. 심할 때는 잠을 자기도 힘들 정도이며 다리로
가는 신경이 마비되어 감각과 힘이 떨어지고
아주 심한 경우 대소변 마비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초기 단계라면 선택적 주사요법,
물리치료와 운동치료 등을 통한 보존적치료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심해 허리를 펼 수없거나 생활하는데
장애가 있다면 비수술 주사치료나 시술 등 적극적인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저희 광명 21세기병원에서는 이러한 척추관
협착증을 척추연성 고정술로 치료해 드리고
있습니다.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척추를 안정화 시키고
척추 관절의 운동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치료
법입니다.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한 척추관 협착증에서
신경곤 협착증이 동반되어 있거나 향후 협착증
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시행하는
수술법인데요, 척추 불안증이 위, 아래로 있어서
신경공 협착증이 있는 경우에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퇴행성 변화가 일찍
찾아오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꾸준한 운동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되며,
장시간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경우 엉덩이는
의자 깊숙이 넣고 허리를 곧게 펴는 등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척추치료 > 척추연성고정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산척추관협착증치료, 노년층에 많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0) | 2019.11.28 |
---|---|
광명정형외과, 환자를 먼저 생각하는 병원입니다. (0) | 2019.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