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목디스크, 목과 어깨에 지속적인 부담을 준다면?
광명목디스크, 목과 어깨에 지속적인 부담을 준다면?
목디스크는 과거에 40~50대에 발생하던 퇴행성 질환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목디스크의 발병연령대가 다양해지고 환자수 또한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이는 우리의 생활습관이 바뀌었기 때문인데요, 장시간 의자에 앉아 업무를 보는 시간이 증가하거나 혹은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 등으로 인해 목디스크의 발병률이 증가하였습니다. 바르지 못한 자세로 발생하는 목디스크는 일상생활 속에서 큰 지장을 주며, 조기에 치료하지 않을 시 심각한 통증을 초래하기 때문에 조기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 목은 7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뼈 사이에는 디스크가 있습니다. 디스크는 목의 움직임을 부드럽게하고 무게와 충격을 견뎌낼 수 있도록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목 디스크는 이러한 디스크가 노화되면서 수분이 손실되고 디스크를 싸고 있는 막이 손상되어 섬유가 찢어져 안에 들어있던 내용물인 수핵이 빠져 나와 신경을 누르면서 발생하는 질환이 목디스크입니다.
목디스크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이 감소하여 퇴행성 변화를 일으켜 탄력성이 상실되어 굳어지고 추간판 벽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부의 수핵이 빠져 나오는 것이 주 원인입니다. 하지만 최근 잘못된 자세와 생활습관 등으로 인해 젊은 층에서도 목디스크의 빈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 중 목디스크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생활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모니터를 향해 목을 쭉 내미는 경우
- 바르지 않은 자세로 앉거나 오래 앉아 있는 경우
- 스마트폰, 컴퓨터, 장시간의 독서 등으로 목뼈의 C자형 곡선이 일자목으로 변형된 경우
- 체형에 맞지 않는 베개를 사용하여 밤새 목과 어깨 근육이 긴장되고 척수가 압박된 경우
목디스크 초기에는 보조기를 이용한 국소고정, 약물치료, 견인치료를 포함한 물리치료나 통증은 줄이고 신경부종을 감소시키는 비수술 주사치료를 통해 완치할 수있습니다. 하지만 신경이 눌려 통증이 심한 경우, 감각저하나 극력악화, 보행장애, 대소변기능의 마비 등의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 목디스크의 비수술적 치료법인 경추 내시경 시술
큰 절개 없이 약 6mm정도의 작은 구멍을 통해 작은 구멍을 통해 가느다란 관을 넣어 내시경과 고주파열을 이용해 정상적인 디스크 수핵 조직은 그대로 보존하고 원인이 되는 조직을 제거하는 치료법입니다.
전신마취를 하지 않고 시행하기 떄문에 마취의 위험이 있는 고령의 환자, 만성질환자에게도 시행이 가능하며, 치료 후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 일상으로의 빠른 복귀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