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술치료/체외충격파치료(ESWT)

뻐근한 손목 엄지손가락 통증 호소하면 소하동정형외과

21C소녀 2024. 6. 20. 20:17

뻐근한 손목 엄지손가락 통증 호소하면 소하동정형외과

하루에 몇 번을 사용하는 지도 모를 정도로 많이 사용되는 손은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더욱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요. 스마트폰은 무거울 뿐 아니라 우리가 손가락을 움직이는 가동 범위보다 넓을 수 있어 손가락과 손을 이루고 있는 힘줄과 조직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손가락을 움직이기 위한 힘줄의 부담이 계속 된다면 손상, 염증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손을 움직일 때 통증이 생길 수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손목건초염이 그러한 질환으로, 손목건초염에 의한 손의 통증은 일상 생활의 많은 불편함이 될 수 있어요.

손목에서 엄지손가락까지 이어져 있는 두 개의 힘줄이 있는데요. 손목과 손가락을 움직이고,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장무지외전근, 그리고 단무지신근이라고 해요. 이 힘줄은 건초라고 하는 막이 둘러싸고 있으며, 이 사이에는 활액이라고 하는 액체가 힘줄 사이의 마찰을 줄이고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게 합니다.

그런데 이 힘줄과 건초가 반복적으로 마찰되면 손상이 생길 수 있으며, 염증이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이 손상과 염증에 의해 통증을 유발하는 염증성 질환을 손목건초염이라고 해요.

 
 

이 손목건초염은 손목과 손을 과하게 사용하면서 근육과 관절에 과도한 부담을 주었을 때 발생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손목에 무리가 되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너무 무거운 물건을 지속적으로 들면서 손목 힘줄과 건초에 손상이 생겨 미세한 파열이 생길 수 있어요. 그래서 손목을 자주 사용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인데요.

미용사나 요리사,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사무직 등이 해당됩니다. 하지만 컴퓨터나 스마트폰같은 전자기기를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사용량이 많아지며 직업이 무색하게 현대인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 되었어요.

 
 

그리고 손목건초염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임신과 출산의 영향으로 근골이 약해진 것이 손목건초염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해요.

장무지외전근과 단무지신근은 엄지손가락에서 손목으로 이어져 있는 힘줄이라고 했는데요. 이 힘줄 부분에 생긴 손상이 원인이다 보니, 해당 부분을 움직이거나 눌렀을 때 통증이 생기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손목건초염을 의심해볼 수 있어요.

  • 손목을 움직이거나 엄지손가락을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진다
  • 손목 부위가 자주 붓고 열감이 느껴져 붉게 변하기도 한다.
  • 손목에 통증과 함께 저릿한 느낌이 동반된다.
  • 엄지손가락과 손목으로 이어진 부분을 눌렀을 때 압통이 있다.
  • 손가락에 힘을 주는 것이 어렵고, 손 동작을 하는 데 제한이 생긴다.

손목건초염 외에도 손목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은 다양하죠. 손목터널증후군부터 손목결정종, 손목에 관절염이 생기기도 하며 목디스크가 손목에 영향을 주기도 해요. 비슷하게 손목 통증이 생기기는 하지만, 통증 개선을 위해서는 정확한 원인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는 것이 필요한데요. 손목건초염으로 진단할 수 있는 특징적인 동작이 있으며, 이를 통해 손목건초염을 자가진단 할 수 있어요.

핑겔스타인 검사라고도 부르는 이 검사를 위해서는 먼저 엄지손가락을 나머지 손가락으로 감싸 주먹을 쥐어야 합니다.

이 후 새끼손가락 방향으로 손목을 꺾어 보았을 때, 통증이나 찌릿한 증상 등이 나타난다면 손목 건초염을 의심해볼 수 있고, 광명21세기병원과 같은 소하동정형외과에 내원해 정밀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바람직해요.

 

손목건초염을 의심해 소하동정형외과에 내원하셨다면 이학적 진찰과 함께 X-ray와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진단을 내릴 수 있으며, 질환의 진행 정도와 통증 정도, 그리고 환자의 상황 등을 고려해 맞춤 치료를 진행할 수 있는데요. 통증이 심하지 않은 초기 단계의 손목건초염이라면 우선적으로 휴식과 보조기 착용, 약물치료, 물리치료와 같은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많은 분들은 해당 단계에서 통증이 개선되지만 호전이 더디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조금 더 적극적인 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다고 해요. 바로 체외충격파 치료인데요.

체외충격파 치료는 통증이 있는 병변 부위에 고에너지의 충격파 에너지를 전달해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며,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는 것을 도와 손상된 조직의 재생과 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비수술적 치료 방법입니다.

절개나 마취, 약물의 사용 없이 진행되는 비수술적 치료로 신체적 부담이 적은데요. 이에 부작용이나 출혈 등에 대한 위험이 적어 고령의 환자나 만성질환을 가지고 계신 분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시술도 부담 없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요.